주민번호에서 생년월일을 추출 할 때 유용한 엑셀 함수 두 가지
엑셀로 문서작성( 재직증명서, 퇴직증명서, 경력증명서 등의 서류를 작성하는 등의 작업을 하다 보면 주민번호에 있는 앞자리 6자리를 불러와 생년월일로 바꿔줄 필요가 있습니다. 그럴 때 필요한 함수식입니다. 1. 'A1'에 주민번호가 있고 'B1'에 생년월일을 표시하고 싶다면 함수는 아래와 같습니다. 아래 함수를 천천히 살펴보면, = DATE(IF(OR(MID(A1,1,2)="3"),"20","19") & MID(A1,1,2), MID(A1,3,2), MID(A1,5,2)) 2. 주민번호를 생년월일로 바꾸기 위해서는 앞에 6자리 숫자가 필요합니다. 예제에서 보면 "201217" 중에서 MID 함수로 먼저 두자리를 20과 비교하여 20보다 크거나 작고, 뒷자리의 첫째자리 수가 3보다 크거나 같으면 2000년대..
단축키
내 블로그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 |
Q
Q
|
새 글 쓰기 |
W
W
|
블로그 게시글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 |
E
E
|
댓글 영역으로 이동 |
C
C
|
모든 영역
이 페이지의 URL 복사 |
S
S
|
맨 위로 이동 |
T
T
|
티스토리 홈 이동 |
H
H
|
단축키 안내 |
Shift + /
⇧ + /
|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